분류 전체보기 147

자바스크립트) fetch API를 통해 본 Promise

1. fetch 란 무엇인가? - fetch cheatsheet : https://devhints.io/js-fetch - 자바스크립트에서 서버에 네트워크 요청을 보내고 새로운 정보를 받아오는 일을 하는 함수 - fetch API를 통해 다양한 주문 전송, 사용자 정보 읽기, 서버에서 최신 변경분 가져오기 등등 다양한 일을 페이지 새로고침 없이 수행할 수 있다. - fetch API는 Promise를 기반으로 동작한다. - 즉, CRUD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. 🔸CRUD란? - 대부분의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가지는 기본적인 데이터 처리 기능인 아래 4가지 항목을 묶어서 일컫는 말이다. 즉, 데이터를 읽고 쓰고 삭제하는..프로그램에서 꼭 필요한 기능들이다. 이름 fetch method SNS 페이지에서 일..

멋쟁이사자처럼 프론트엔드스쿨 3기 13주차 회고록

느꼈던 점 나아가야할 방향 1. 블로그 글정리를 통한 공부방법 - 코딩애플 인강 -> 다른 유튜브나 더 깊은 자료 검색 -> 블로그 글정리 로 하고 있다. - 블로그 글정리를 할때 , 코딩애플에서 그대로 알려준 예시나 다른 블로그에서 알려준 예시로 그대로 작성하는 거보다 내가 직접 예시를 만들어서 남들에게 설명하니까. 훨씬 더 머리에 잘 남는다. 그런데 블로그 정리를 하면 진도가 늦어진다... 개념 정리만 블로그에 적고, output을 위한 프로젝트는 깃허브에 올려야겠다~! 2. 재현강사님과 함께한 면접질문 대비 - 면접 질문을 대비했을때..분명 어디서 본 개념인데 한개도 대답 못하는 나를보고..약간.. 벙이 쪘다. - 들어보기만 했을뿐 한번도 정리하지 않아서 그런것 같다. - 블로그 글을 쓸때 나는 주..

자바스크립트 기초) 초보자들을 위한 콜백 함수 끝장내기

0. 글을 쓰게된 계기 - 분명 외웠다고 생각했는데... 이벤트리스너, 셋타임 함수등을 쓰며..분명 이해했다고 생각했는데 아직도 이해못한 나 자신에게 이해시키기 위한 마지막 콜백함수 끝장내기 뿌시기 글이다. 1. 콜백함수 너가 뭔데!! 🔸콜백함수 뜻 - 함수의 파라미터(매개변수)로 들어가는 함수다. - 콜백함수는 대표적으로 setTimeout 함수와, addEventListener 함수에 쓰인다. - 아래 예제로 설명하자면, setTimeout과 addEventListener은 모두 콜백함수를 인자로 받는다. setTimeout 은 console.log(3)을 1초 뒤에 실행해줘~ addEventListener 은 버튼을 클릭하면 console.log('버튼클릭했음') 실행해줘~ 즉, 각 함수의 기능을 ..

블로그 주인장 소개

0. 주인장은 누구입니까? - 생년월일 : 1995.12.30 - MBTI : 일하고 여행갈때는 ENTJ, 친구들과 놀때는 ENFP - 영어이름 : Ella 1. 이 블로그는 왜 만들었습니까? - 공부용, 기록용으로 만들었습니다. - 머리가 좋지 않아서, 외우다 외우다가 도저히 이해안되는 것들 위주로 블로그에 올립니다. - 그리고 상위랭크된 대부분의 블로그들이 초보를 타겟으로 했다기보다는 구체적으로, 심층적으로 설명해주는 블로그가 많습니다. 아주 초보용 블로그보다는...대부분의 예제도 화살표함수, 클래스 이런것들로 구성되어있어서. function 만 쓰는...아주 쉬운 예제로(제가 이해하기 쉽게) 설명하기 위해서 답답해서 블로그를 만들었습니다. - 물론 때가 되면 깊은 얘기도 다루겠지만, 우선 왕초보 타..

주인장 소개 2022.11.23

React) props가 setState함수도 물려줄 수 있다네!

- 정말 쉬운 예제코드라서 초보자들도 무리없이 이해할수있습니다. 1. 오늘의 삽질 원인 - props 실습을 하다가, props는 state와 문자,숫자 종류만 자식에게 물려줄 수 있는 줄 알았다. - 하지만, setState 함수도 물려줄 수 있었다. - 그런데, 알고있기로 props를 통해서 state를 물려줄때에는 state를 변경 불가능하다고 알고있었다. 즉, readonly라고만 알고있었는데... setState함수를 쓰니...자식의 값을 바꿔버리니 부모의 값도 바뀌는 것이었다... 또르르... 나는 자식의 값만 바꾸고 싶었는데, 부모의 값도 같이 바꿔버렸다... 1-1) 예제코드 - App.js 파일에 Main 자식 컴포넌트 안에 setState함수를 물려줄 이름을 이름변경이라고 짓고, 스테이..

React 기초) 부모의 state를 자식이 물려받고 싶을 때는 props

이 블로그 글 특 : 아주 초보자도 이해할수있는 쉬운 예제(제가 개발한 예제)로 설명함. 특히 개념설명은 무조건 쉬운 예제로 설명해야한다는 고정관념이 있는 1인 1. props - 부모 컴포넌트가 자식 컴포넌트한테 전달하는 값 - 즉, 자식 컴포넌트가 부모 컴포넌트에 있던 state를 쓰고 싶으면 props로 전송해서 써야한다. 1-1) 예제코드로 살펴보자 - 아주 간단한 아래와 같은 코드가 있다. useState모르면 내 블로그에서 검색해보삼 - App 컴포넌트에 인삿말을 p태그 3개로 나열하고 이름을 useState 배열로 받아줬다. - 그리고 Main 컴포넌트에는 자기소개로 역시나 똗같이 p태그 3개로 나열해주었다. - 그런데 예제코드를 보면, useState의 배열에 들은 이름들이 Main 에도 ..